1. 마크다운(Markdown)이란?
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의 일종으로, 2004년 존 그루버에 의해 만들어졌다.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와 문법으로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 할 수 있고 HTML로 변환이 가능하다. 대표적으로 깃허브(GItHub)의 저장소 Repository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README.md가 있으며 이외에도 티스토리, 벨로그, 워드프레스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되고 있다.
1-1. 마크다운의 장점
1) 문장이 간결하고 쉽다.
2) 별도의 도구없이 작성이 가능하다.
3) 텍스트로 저장되기 때문에 용량이 적어 보관이 용이하다.
4) 다양한 프로그램과 플랫폼에서 지원한다.
1-2. 마크다운의 단점
1) 표준이 없어서 도구에 따라 변환방식이나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다.
2) 모든 HTML 마크업을 대신하지 못한다.
3) 미디어 파일(사진, 동영상 등) 업로드의 경우 파일의 주소가 있어야한다.
2. 마크다운(Markdown) 문법
2-1. 제목(Header)
1) #뒤에 띄어쓰기 한 칸을 넣고 내용을 작성한다.
2) h1 ~ h6까지의 제목을 표현할 수 있다.
# 제목1 입니다.(H1)
## 제목2 입니다.(H2)
### 제목3 입니다.(H3)
#### 제목4 입니다.(H4)
##### 제목5 입니다.(H5)
###### 제목6 입니다.(H6)
3) 제목1(h1)과 제목2(h2)는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.
제목1 입니다.(H1)
=================
제목2 입니다.(H2)
-----------------
2-2. 줄바꿈(Line Breaks)
1) 3칸 이상 띄어쓰기 혹은 <br/>
을 사용한다.
개인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3칸 이상의 띄어쓰기가 줄바꿈 적용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 <br/>
을 선호하는 편이다.
줄바꿈을 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. 첫번째는 띄어쓰기를 3번 이상하는 것,
두번째는 <br/>을 사용 하는 것입니다.
줄바꿈을 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. 첫번째는 띄어쓰기를 3번 이상하는 것, <!-- 띄어쓰기 3번 이상 -->
두번째는 <br/>을 사용 하는 것입니다.
줄바꿈을 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. 첫번째는 띄어쓰기를 3번 이상하는 것, 두번째는 <br/>
을 사용 하는 것입니다.
줄바꿈을 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. 첫번째는 띄어쓰기를 3번 이상하는 것,
두번째는 <br/>
을 사용 하는 것입니다.
2-3. 인용문(BlockQuote)
1) >
블럭 인용 문자를 사용하여 표현 가능하다.
2) 인용문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다.
> 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>> 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>>> 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3) 인용문 안에 다른 요소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.
> 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> - 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> ```이것은 인용문입니다.```
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- 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2-4. 강조(Emphasis)
*single asterisks 이텔릭체*
_single asterisks 이텔릭체_
**double asterisks 볼드체**
__double asterisks 볼드체__
~~cancelline 취소선~~
<u>underline 밑줄</u>
single asterisks 이텔릭체
single asterisks 이텔릭체
double asterisks 볼드체
double asterisks 볼드체cancelline 취소선
underline 밑줄
<u>*혼합*</u>해서 ~~*사용*~~ 할 수 있습니다.
혼합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2-5. 수평선(Horizontal Rule) <hr/>
1) 가시적으로 페이지를 나누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.
2) -
또는 *
또는 _
을 3개 이상 작성하면 된다.
단, -
의 경우 텍스트 바로 밑에 사용하면 header(제목)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줄바꿈을 한 번 더 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.
* * *
** *
*****
- - -
--------------------
2-6. 목록(List)
1. 순서가 없는 목록(Unordered List)
1) *
, +
, -
를 이용하여 순서가 없는 목록을 만들 수 있다.
2) 들여쓰기를 하면 모양이 바뀐다.
* 빨강
* 주황
* 노랑
+ 빨강
+ 주황
+ 노랑
- 빨강
- 주황
- 노랑
빨강
- 주황
- 노랑
- 주황
빨강
- 주황
- 노랑
- 주황
빨강
- 주황
- 노랑
- 주황
3) 기호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.
* 빨강
+ 주황
- 노랑
- 빨강
- 주황
- 노랑
- 주황
2. 순서가 있는 목록(Ordered List)
1) 숫자와 점을 이용하여 순서가 있는 목록을 만들 수 있다.
2) 들여쓰기를 하면 모양이 바뀐다.
1. 1번째 목록
1. 1-1번째 목록
2. 1-2번째 목록
2. 2번째 목록
3. 3번째 목록
1. 3-1번째 목록
- 1번째 목록
- 1-1번째 목록
- 1-2번째 목록
- 2번째 목록
- 3번째 목록
- 3-1번째 목록
3) 어떤 번호를 입력해도 순서는 내림차순으로 정의된다.
1. 1번째 목록
10. 10번째 목록
5. 5번째 목록
- 1번째 목록
- 10번째 목록
- 5번째 목록
3. 혼합 목록
1) 숫자와 *
, +
, -
를 이용해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.
1. 1번째 목록
1. 무지개
* 빨주노초파남보
- 대기 중 수증기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, 반사,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
2. 2번째 목록
+ 색상 코드
1. RGB 값
2. HSB 값
3. CMYK 값
- 빛의 삼원색
- 1번째 목록
- 무지개
- 빨주노초파남보
- 대기 중 수증기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, 반사,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
- 무지개
- 2번째 목록
- 색상 코드
- RGB 값
- HSB 값
- CMYK 값
- 빛의 삼원색
- 색상 코드
2-7. 코드(Code)
1. 인라인(inline) 코드
1) ` (Grave) 문자를 텍스트 앞뒤로 감싸서 강조할 수 있다.
`간단한 코드`는 이렇게 내용을 감싸서 강조할 수 있다.
간단한 코드
는 이렇게 내용을 감싸서 강조할 수 있다.
2. 블럭(Block) 코드
1) <pre><code>{code}</code></pre>
를 이용한 방식
<pre><code>
public class TestClass()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Hello, JAVA world");
}
}
</code></pre>
public class TestClass()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Hello, JAVA world");
}
}
2) ``` 를 이용한 방식
- ``` 옆에 언어를 지정하면 문법강조(Syntax highlighting)가 가능하다.
```java
public class TestClass()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Hello, JAVA world");
}
}
```
public class TestClass()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Hello, JAVA world");
}
}
2-8. 링크(Link)
1. 외부링크
1) 사용 방법
[Title](URL)
2) 사용 예시
[이곳을 누르면 네이버로 이동합니다](https://www.naver.com/)
[이곳을 누르면 구글로 이동합니다](https://www.google.com/)
2. 참조링크
1) 사용 방법
- 마우스를 올리면 Optional Title Here에 입력한 내용이 보인다.
[Title Keyword][ID]
[ID]: URL "Optional Title Here"
2) 사용 예시
[Google][GoogleLink]
[GoogleLink]: https://www.google.com/ "이곳을 누르면 구글로 이동합니다."
3. 자동연결
1) 문서 내 일반 URL이나 꺾쇠 괄호(< >
) 안의 URL은 자동으로 링크를 형성한다.
2) 사용 예시
네이버 : https://www.naver.com/
구글 : <https://www.google.com/>
이메일 : example@example.com
네이버 : https://www.naver.com/
구글 : https://www.google.com/
이메일 : example@example.com
2-9. 이미지(Image)
1. 기본문법
1) 사용 방법
- 마우스를 올리면 Optional Title Here에 입력한 내용이 보인다.

2. 참조링크 이미지
1) 사용 방법
- 마우스를 올리면 Optional Title Here에 입력한 내용이 보인다.
![Alt text][ID]
[ID]: Image Link "Optional Title Here"
3. 이미지와 링크 동시에 사용(이미지를 링크로 사용)
1) 사용 방법
[](URL Link)
4. 태그를 이용한 이미지
1) 사용 방법
- 태그를 이용하면 이미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.
-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리면 title에 입력한 내용이 보인다.
<img src="Image Link" width="width Size" height="height Size" title="Optional Title" alt="alt text"></img>
2-10. 체크 리스트(Check List)
1) 줄 앞에 - [ ], - [x] 를 사용하여 체크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.
- [ ] 미완료된 체크 리스트
- [x] 완료된 체크 리스트
- 미완료된 체크 리스트
- 완료된 체크 리스트
2) 체크 리스트 안에서 강조 외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- [ ] <u>다양한 기능</u>을 **사용**할 수 있다
- [x] [Link](), `Code Block` end etc
-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
- Link,
Code Block
end etc
2-11. 표(Table)
1) |
(Vertical Bar) 기호를 통해 표를 표현할 수 있다.
2) 가장 끝에 있는 좌측, 우측 |
기호는 생략 가능하다.
3) 헤더와 셀을 구분할 때 3개 이상의 -
(Hyphen/Dash) 기호가 필요하다
4) 헤더와 셀을 구분하면서 :
(Colon) 기호로 셀(열/칸) 안의 내용을 정렬할 수 있다.
|헤더1|헤더2|헤더3|헤더4|
|---|---|---|---|
|셀1|셀2|셀3|셀4|
|셀5|셀6|셀7|셀8|
|셀9|셀10|셀11|셀12|
왼쪽 정렬|가운데 정렬|오른쪽 정렬
:--|:--:|--:
셀1|셀2|셀3
셀4|셀5|셀6
셀7|셀8|셀9
헤더1 | 헤더2 | 헤더3 | 헤더4 |
---|---|---|---|
셀1 | 셀2 | 셀3 | 셀4 |
셀5 | 셀6 | 셀7 | 셀8 |
셀9 | 셀10 | 셀11 | 셀12 |
왼쪽 정렬 | 가운데 정렬 | 오른쪽 정렬 |
---|---|---|
셀1 | 셀2 | 셀3 |
셀4 | 셀5 | 셀6 |
셀7 | 셀8 | 셀9 |
2-12. 각주(Footnote)
1. 기본문법
1) Github 스타일의 마크다운에서는 각주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.
마크다운의 각주입니다[^id]
<!-- 글 뒷부분에 작성 -->
[^id]: 각주에 대한 설명
2. HTML을 이용한 각주
1) Github 스타일의 마크다운에서도 적용 가능하다.
HTML을 이용하여 각주를 달 수 있다.<sup>[1](#id_1)</sup>
각주에 대한 참고 링크<sup>[2](#id_2)</sup>
<!-- 글 뒷부분에 작성 -->
<a name="id_1">1</a>: 각주에 대한 설명
<a name="id_2">2</a>: https://lynmp.com/ko/article/nu86c16d8f09c9fbd8
HTML을 이용하여 각주를 달 수 있다.1
각주에 대한 참고 링크2
ㅇ 각주
1: 각주에 대한 설명
2: https://lynmp.com/ko/article/nu86c16d8f09c9fbd8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에 TOC(자동 목차) 적용하기 (0) | 2023.01.21 |
---|---|
티스토리에 Github 스타일 마크다운(Markdown) 적용하기 (0) | 2022.11.30 |
Day 0. 기록의 시작 (0) | 2022.10.29 |